⚡ 네트워크 동기화 최적화와 지연(Lag) 처리 – 부드러운 멀티플레이 구현
멀티플레이어 게임에서 플레이어 위치, 공격, 스킬 사용 등을 실시간으로 동기화해야 하지만,
네트워크 지연(Latency) 때문에 캐릭터 순간 이동, 튀는 움직임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
이번 글에서는 이를 최적화하고 지연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Unity와 Photon 기준으로 정리해보겠다.
1. 네트워크 지연(Latency) 이해
-
패킷이 서버 ↔ 클라이언트 사이를 오가는 시간
-
50~100ms 정도는 정상, 200ms 이상이면 체감 지연 발생
-
지연 문제 → 캐릭터 위치, 공격 반영 늦음 → 부자연스러운 움직임
2. 동기화 최적화 전략
2-1. 위치/회전 동기화
-
매 프레임 전송 X → 일정 시간 간격(예: 0.1초) 전송
-
Interpolation(보간) 사용 → 위치를 부드럽게 연결
2-2. 상태 동기화
-
체력, 아이템, 점수 등 중요한 정보만 전송
-
작은 데이터 패킷으로 서버 부담 최소화
2-3. 예측(Client-side Prediction)
-
클라이언트에서 입력 즉시 움직임 계산 → 지연 보정
-
서버 확인 후 보정 → 스무스하게 보정 가능
3. Photon 예제
-
OnPhotonSerializeView()
에서 위치/회전/상태 전송 -
Interpolation으로 움직임 부드럽게 처리
4. 실전 팁
-
네트워크 메시지 압축: Vector3 → int16 변환 가능
-
Update vs FixedUpdate: 위치 전송은 FixedUpdate 권장
-
필터링: 불필요한 동작은 전송하지 않음
5. 마무리
네트워크 최적화와 지연 처리를 잘하면,
-
멀티플레이어 게임 플레이 안정성 향상
-
플레이어 움직임과 공격 반응 자연스러움
-
서버 부담 최소화 → 더 많은 플레이어 지원 가능
👉 다음 글에서는 멀티플레이어 스킬/아이템 동기화 구현을 다뤄, 실시간 전투 환경에서도 정확한 스킬 효과와 아이템 동작을 구현하는 방법을 살펴보겠다.
댓글
댓글 쓰기